반응형 주식7 [ETF] SOL 골드 커버드콜 액티브, 신규 상장한 금 ETF SOL 골드커버드콜 액티브 ETF는 신한자산운용이 2025년 3월 11일에 상장한 상장지수펀드(ETF)로, 국제 금 시세를 90% 이상 추종하면서 커버드콜 전략을 활용하여 매월 배당을 지급하는 상품입니다. 현재 금 시세는 최고점을 찍은 하락하고 있지만, 반등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상승의 여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실제 골드바 구입을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금 가치와 동시에 금 관련 ETF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기존 KRX금현물 ETF 투자를 알아보다 새로 오픈하 SOL 골드 커버드콜 액티브 ETF를 발견하고 정리해 봅니다. 주요 특징:커버드콜 전략 활용: 금 ETF를 보유하면서 동시에 콜옵션을 매도하여 옵션 프리미엄을 획득합니다. 이를 통해 자본차익과 배당수익을 동시에 추구합니다.월배당 .. 2025. 3. 12. [용어] 다우존스(DJIA), 나스닥(NASDAQ), S&P 500 차이점 정리 주식 시장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JIA), 나스닥(NASDAQ), S&P 500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미국 증시를 대표하는 주요 지수입니다. 이들의 특징과 차이점을 정리해 보겠습니다.1.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JIA)줄임말: 다우지수, 다우존스(Dow Jones), DJIA구성 종목: 미국 대형 기업 30개산출 방식: 가격 가중 방식(주가가 높은 종목이 더 큰 영향)특징:미국 경제를 대표하는 30개의 대형 우량주(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골드만삭스 등)로 구성됨.가격 가중 방식이라서 주가가 높은 기업이 더 큰 영향을 미침.기술주 비중이 낮고, 전통적인 제조업·금융 기업이 많음.미국 증시 전체를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음.2. 나스닥 종합지수(NASDAQ Composite Index.. 2025. 2. 7. [국내] ISA계좌를 통해 미국 S&P 500 ETF 주식 하기 ISA(Individual Savings Account) 계좌는 세제 혜택을 통해 투자 수익에 대한 절세 효과를 제공하는 개인 저축 계좌로, 국내 투자자들에게 인기가 높습니다. 특히,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에 투자하여 미국 대형주 시장의 성과를 누리고자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ISA 계좌를 통해 투자할 수 있는 대표적인 S&P 500 지수 ETF를 몇 가지 소개해 드리겠습니다.1. KODEX S&P 500 ETF운용사: 삼성자산운용특징: S&P 500 지수를 추종하며, 미국 주식시장의 대표적인 500개 기업에 분산 투자합니다. 국내 상장 ETF로, 원화로 거래되며 환헤지 여부에 따라 환율 변동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2. TIGER S&P 500 ETF운용사: 미래에셋자산운용특징: S&.. 2025. 2. 4. [해외] UVIX ETF란? 미국 주가 하락 시 돈 버는 방법 1.PROSHARES ULTRA VIX SHORT-TERM FUTURES: S&P 500 VIX 단가 선물 지수의 일일 성과를 1.5배 추적하는 것을 목표로하는, 즉 시장 변동성을 활용해 수익을 내는 ETF상품이다. 일반 적으로 주가가 오르면 이득을 보는 ETF 상품과 달리, 주가가 하락하고 변동성이 증가할 때 가치가 상승하여 헷지 및 반대 투자로 자주 사용된다. 2.VIX 지수, 일명 공포 지수가 상슬할 때 UVIX도 함께 사응하는 구조. 시장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높아져 투자자들이 공포로 인해 주가를 던질 때 이득을 볼 수 있다. 즉 쉽게 얘기하여, S&P 500 지수가 떨어질 때 반대로 이익을 볼 수 있다. 정확히는 UVIX는 VIX 선물 계약을 통해 매일 VIX 1.5배 레버리지 효과를 유지.. 2024. 12. 5. [용어] BEP란 무엇일까? Break-Even Point 1. BEP란? Break - Even Point의 약자로 손익분기점을 뜻한다. 총 수익과 총 비용이 일치하는 교차점으로 수익도 없지만 손해도 없는 순간을 뜻한다. 2. 시장이 글로벌화되면서 이제는 세계를 대상으로 경쟁하고 있다. 규모의 경제는 이익을 마련할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방법으로 많은 기업들이 투자규모를 키우고 있다. 이로 인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됐지만 이 자체로 손익이 좋아졌다고는 장담할 수 없다. 하여 정확한 손익분기점을 파악하는게 오늘 날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게 됐다. 3. 손익분기점을 구하는 것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1) 비례율법: 비례율을 산정하여 고동비와 변동비로 분해하는 방법 2) 산포도표법: 일정 기간 자료를 수집하여 비율을 통해 구한는 방법 등등 여러가지 방법들이 있지.. 2024. 3. 13. [주식] PER이란 무엇일까? 1. PER이란? 주가가 그 회사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 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어떤 기업의 주식가격이 10,000원일때 1주당 수익이 1,000원이라하면 PER 10이 된다. 기업의 순이익이 주식가격보다 크면 클수록 PER이 낮게 나타난다. 즉 PER이 낮을 수록 저평가 되어있다고 말한다. 일반적으로 PER이 10 이하일 경우 저 PER 기업으로 분류한다. 하지만 PER만 본다해서 기업의 가치가 높다, 낮다 말하는 건 옳지 않다. 그 기업이 가지고 있는 미래 성장성, 산업의 전반적인 미래 등 여러가지 등을 고려해야만 한다. 즉, 하나의 수치일뿐 이것만으로 투자를 결정해서는 안된다. 2023. 3. 6. [영문뉴스] 금주 경제: FED는 속도를 늦춘다. What's up? (Jan.29 - Feb.4) Rates Go Up, but by less The Federal Reserve continued its campaign to lift interest rates to tame rising prices on Wednesday, but this time the announcement of another increase - by a quarter point- was inflected with some optimism. tame: VT. 길들이다, 다스리다 - tame rising prices: 물가를 다스리다 > 인상된 물가를 안정시키다. inflect: VI. (단어,언어가) 굴절하다, 어미 변화를 하다 - be inflected with N > 반영하다... 2023. 2. 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