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BEP란? Break - Even Point의 약자로 손익분기점을 뜻한다.
총 수익과 총 비용이 일치하는 교차점으로 수익도 없지만 손해도 없는 순간을 뜻한다.
2.
시장이 글로벌화되면서 이제는 세계를 대상으로 경쟁하고 있다. 규모의 경제는 이익을 마련할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방법으로 많은 기업들이 투자규모를 키우고 있다. 이로 인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됐지만 이 자체로 손익이 좋아졌다고는 장담할 수 없다.
하여 정확한 손익분기점을 파악하는게 오늘 날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게 됐다.
3.
손익분기점을 구하는 것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1) 비례율법: 비례율을 산정하여 고동비와 변동비로 분해하는 방법
2) 산포도표법: 일정 기간 자료를 수집하여 비율을 통해 구한는 방법
등등 여러가지 방법들이 있지만 각자 산업에 맞는 방법을 통해 알맞은 방식을 이용해한다.
4.
오늘 날 고정비는 어느정도 정확하게 값을 구할 수 있으니 변동비는 어떤 시각에 따라 값을 정확이 측정하기가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확실한 기준점을 갖고 지속적으로 관리해야할 필요가 있다.
반응형
'work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 SOP. GMP 란 무엇일까? (0) | 2024.08.29 |
---|---|
[용어] Pa, MPa, KPa, HPa 읽는 법과 뜻 정리 (0) | 2024.03.20 |
[용어] A GROSS = 12 DOZEN, 단위 뜻을 알아보자 (0) | 2024.01.08 |
[ETC] 2024년 중국 공휴일 정리 (0) | 2023.12.13 |
[TEST] GARMENT TEST - Color Fastness 종류와 의미 (0) | 2023.1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