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ork/trade

[용어] 용적 중량이란? DHL 및 국제 특송 비용 계산하기

by Abraxass 2024. 7. 11.
반응형

 

1. 

운송비를 계산할 때, 실제 무게로만 진행되지 않는다. 무게와 용적면적을 비교 후 운송사측에 유리한 금액을 선정하며 이러한 이유료 Net Weight /  Gross Weight . Volume Weight 등이 존재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면 되겠다. 

 

[용어] Volume Weight, Volume Cargo란?

1. 화물을 배송하기 위해서는 운송수단이 필요하다. 육상, 해상, 항공 등 화물의 목적에 맞게 알맞은 루트를 찾아 이용해야 한다. 그리고 운송 수단에 따라 운임을 측정하는 여러가지 방법들이

hyoe-it.tistory.com

 

2. 

무게를 비교했을 때 사용되는 무게를 Chargeable weight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이 때 가격은 어떻게 구할까?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 

 

그 전에 용적중량에 대해 알아야한다. 

이아타(IATA: 국제항공화물협회)에서는 항공운송인 경우 가로cm * 세로cm * 높이cm* / 6000으로 규정하고 있다.

1962년 이래 7,000㎤였던 것이 1981년 6,000㎤로 변경되었고 2002년에는 5,000㎤로 하는 실질가격 상승안이 IATA로부터 제시되었다.

현재 DHL 및 국제 특송에서는 5,000을 기준으로 가격을 책정하고 있다. (100cm * 100cm * 100cm) / 5000 = 200으로 CBM * 200이 용적중량을 구하는 방법이다.

 

3. 

예를들어 실무게 110kg / 0.5CBM 물건을 DHL로 발송한다고 생각해보자.

이 경우 용적중량은 0.5 * 200 = 100이므로 더 무게가 많이 나가는 Gross Weight: 110kg의 무게가 측정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