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TC/stock market

[용어] 다우존스(DJIA), 나스닥(NASDAQ), S&P 500 차이점 정리

by Abraxass 2025. 2. 7.
반응형

 

 

주식 시장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JIA), 나스닥(NASDAQ), S&P 500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미국 증시를 대표하는 주요 지수입니다. 이들의 특징과 차이점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JIA)

  • 줄임말: 다우지수, 다우존스(Dow Jones), DJIA
  • 구성 종목: 미국 대형 기업 30개
  • 산출 방식: 가격 가중 방식(주가가 높은 종목이 더 큰 영향)
  • 특징:
    • 미국 경제를 대표하는 30개의 대형 우량주(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골드만삭스 등)로 구성됨.
    • 가격 가중 방식이라서 주가가 높은 기업이 더 큰 영향을 미침.
    • 기술주 비중이 낮고, 전통적인 제조업·금융 기업이 많음.
    • 미국 증시 전체를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음.

2. 나스닥 종합지수(NASDAQ Composite Index)

  • 줄임말: 나스닥(NASDAQ)
  • 구성 종목: 나스닥 시장에 상장된 모든 기업(약 3,000개 이상)
  • 산출 방식: 시가총액 가중 방식(기업 규모가 클수록 더 큰 영향)
  • 특징:
    • 기술주 중심의 지수로,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엔비디아, 아마존, 구글 등이 포함됨.
    • 시가총액 가중 방식이라 대형 기술주(빅테크 기업)의 영향력이 큼.
    • IT·바이오·테크 기업이 많아 변동성이 크고 성장성이 높음.
    • 다우존스보다 미국 경제의 현재 트렌드를 더 잘 반영.

반응형

3. S&P 500 지수(Standard & Poor’s 500 Index)

  • 줄임말: S&P 500
  • 구성 종목: 미국 대형 기업 500개
  • 산출 방식: 시가총액 가중 방식
  • 특징:
    • 미국 전체 주식시장을 가장 잘 반영하는 대표적인 지수.
    •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엔비디아, JP모건 등 다양한 업종 포함.
    • 시가총액이 크면 더 큰 영향을 미침.
    • 기관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참고하는 지수.
    • 장기적으로 보면 S&P 500이 다우존스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는 경우가 많음.

 

비교 정리 (한눈에 보기)

구분다우존스 (DJIA)나스닥 (NASDAQ)S&P 500

구성 기업 수 30개 약 3,000개 이상 500개
산출 방식 가격 가중 방식 시가총액 가중 방식 시가총액 가중 방식
특징 전통적 대형 기업 중심 기술주 중심 미국 전체 시장 대표
대표 기업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골드만삭스 등 애플, 테슬라, 엔비디아 등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JP모건 등
변동성 낮음 높음 중간
장점 안정적, 전통적 지수 성장성 높음, 기술주 반영 미국 경제 전체 반영

결론

  • 안정적이고 전통적인 대기업 중심 → 다우존스
  • 기술주 중심의 성장성 높은 지수 → 나스닥
  • 미국 전체 경제를 대표하는 종합적인 지수 → S&P 500

투자 목적과 리스크 선호도에 따라 어떤 지수를 참고할지 결정하면 됩니다.

  • 안정적이고 보수적인 투자를 원한다면 다우존스
  • IT·기술주의 성장성을 보고 싶다면 나스닥
  • 전체적인 미국 시장 흐름을 보고 싶다면 S&P 50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