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부정2

[용어] 3월 재시되는 공매도, 공매도란? 왜 개미들에게 불리한가 공매도는 본질적으로는 주식 시장의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공매도는 특정 주식이 과대평가되었거나 가격 거품이 발생했을 때, 이를 정상 수준으로 조정하는 기능을 합니다. 공매도의 긍정적인 역할시장 유동성 증가공매도 투자자들이 시장에 참여함으로써 주식의 거래량이 늘어나고, 매수·매도의 균형이 맞춰져 가격 형성이 원활해집니다.거품 방지 및 가격 발견 기능기업 가치에 비해 주가가 과도하게 상승한 경우, 공매도를 통해 가격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2020년 한국에서 라임·옵티머스 사태처럼 부실 기업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을 때, 공매도 세력이 이를 조기에 감지하고 가격을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헤지(위험 분산) 기능기관 투자자들은 공매도를 활용하여 포트폴리오 리스크를 관리합니다. 예를 들어.. 2025. 3. 18.
[단어] comprehend와 understand의 차이는? 1. comprehend: (충분히) 이해하다 = to understand something 2. understand와 완전히 같아보이는 이 단어는 실제 사용상에서 큰 차이가 있다. 바로 부정문에 주로 사용된다는 점이다. 아래 예문을 통해 익혀보자. - He stood staring at him, unable to comprehend. 그는 현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채 그를 서서 바라봤다. - It's not easy to comprehend other's minds.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다. - He needs quite some time to comprehend what's going on. 그는 이해하는데 꽤 많은 시간이 걸린다. 위와같이 not이 붙어 있지 않더라도 의미상 부.. 2024. 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