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work/etc41

[용어] MARK UP, 마크업이란? MARGIN, 마진과 다른점 MARK UP 기업은 돈을 만들어내는 것을 목적으로 구성된 단체이다. 돈을 만들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품을 제공하여 그에 알맞는 돈을 지불받아 이익을 만들어야 한다. A라는 제품을 판매할 때, 기업에서 얻을 수 있는 이익. 이 부분을 나타내는 여러가지 용어들이 있지만 그 중 MARK UP, 마크업에 대해 알아보자. A의 판매가는 10,000원 / 제조원가는 1,000원 이다. MARKUP = 10,000 / 1,000 = 마크업은 10. 간단히 계산했을 시 마크업은 10이다. 다만 실제로는 유통수수료, 부과세를 제한 가격에을 제조원가로 나누기 때문에 참고해두자. 그렇다면 마크업 퍼센테이지는? 매출총이익 / 제조단가 * 100. 즉 A의 마크업 퍼센테이지는 (10000-1000)/1000 * 100 = 9%.. 2022. 5. 23.
[용어] CMA, IRP, ISA, 연금저축에 대해 알아보자 재테크: 재무 테크놀리지 사회 생활을 시작하면서 생각보다 큰 세금에 놀라게 된다. 이 후 여러 가지 환원받을 수 있는 방법을 찾는데 그 중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용어가 CMA, IRP, ISA, 연금저축등이 있다. 금융쪽에 일하지 않는 이상 쉽게 알 수 없는 단어들로 어떠한 의미인지, 어떠한 혜택과 제한이 있는지 스스로 공부하기 위해 작성하며 이 글을 보는 분들에게도 도움이 됐으면 한다. CMA: CASH MANAGEMENT ACCOUNT 영어로 자금 관리 계좌로 흔히 증권사 기본계좌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현대 사회에서 돈을 보관하기 위해 금융권 은행을 통해 계좌를 만들어 돈을 보관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투자를 목적으로 증권사에 계좌를 만들때 가장 기본적인 금융계좌라고 생각하면 된다. 다만 예.. 2022. 4. 8.
[용어] B2B, B2C, D2C, C2C / BTB, BTC, DTC, CTC 란? 상업 거래 간 당사자들에 따라 달라지는 용어 B2B, BTB business to business의 약자로 기업과 기업간의 거래를 뜻한다. 예로 핸드크림을 제조하는 회사 A, 그리고 화장품 브랜드 B가 있다고 가정해보다. B가 OEM 또는 ODM 으로 A에게 화장품 생산을 요청했고 A는 제품을 생산 후 B에게 제품을 전달했다. B는 제품을 받고 대금을 A에게 결제해준다. OEM, ODM란? [용어] OEM, ODM, OBM 무슨 뜻이고 차이점이 뭘까? OEM, ODM, OBM 귀사는 OEM 시설 뿐 아니라 ODM 능력도 가지고 있습니다. 회사 브로셔에 나오는 한 문장이다. 여기서 OEM에 대략적으로 무슨뜻을 가지고 있는지는 대부분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게 hyoe-it.tistory.com 위와 .. 2022. 3. 18.
[용어] 전자어음, 외담대란? 차이점을 알아보자 전자어음과 외담대 B2B 거래 중 대금결제를 직접 이체해 주는 경우도 있지만 금액이 클 수록 은행을 통해 전자어음 혹은 외담대를 이용하여 결제한다. 전자어음 전자어음이란? 전자문서로 발행 및 유통되는 어음으로 현금을 바로 전달하는 대신 은행을 보증인으로 세워 만기일에 금액을 지불하겠다는 증서이다. 인터넷이 발달하기 전에는 위와 같은 종이문서로 발급되었으니 현대시대에서는 보기 드물며 2023년 이 후 부터 사용이 중단 될 예정이다. 만기일이 되어야 전자어음에 기재되어있는 금액을 받을 수 있지만, 현금 흐름이 원할하지 않을 경우 할인을 통해 만기일 전에 수령받을 수 있다. 정확히 얘기하자면 어음을 담보로 은행에서 대출을 해주는 시스템이다. 은행에서는 어차피 수령될 돈이기 때문에 대출금액이 보장된 상황이고 할.. 2022. 3. 16.
[용어] 봉제용어 총정리 오바록, 니혼오바 : 오바록은 시접의 올풀림을 방지하는 봉제, 니혼오바는 오바록에 바늘이 더 달린 특종기계로 시접처리를 동시에 해결 인터록 : 얇은 원단의 단처리에 사용, 오바록과 비슷함 삼봉: 단처리에 쓰이며 안쪽에는 지그재그 스티치가, 겉쪽에는 1/2/3줄 스티치가 나타나 일봉 이봉 삼봉이라 나눠 얘기하지만 통칭 삼봉으로 부름 가루에빠 : 가루에빠는 솔기선에 지그재그 스티치가 겉으로 보이게 박는 장식 니혼바리 : 두줄박기 두꺼운 캐주얼 바지에 사용 큐큐: 자켓, 코트 사용되는 앞쪽이 둥글게 파여진 단추구멍 나나(인치): 블라우스나 셔츠에 주로 사용되는 일자형 단추구멍 간도메, 바텍 : 여러번 박아 튼튼하게 하는 디테일, 최근엔 장식으로도 사용된다 하도메: 원단에 구멍을 내고 그 주위를 원형으로 실을 .. 2022. 3. 12.
[봉제] 미쓰마키, 미스마끼 말아박기 봉제 방법 미쓰마끼 봉제란? 미쓰마끼 : 三つ巻き縫い, 말아박기, Foot Hemmer 한국어로 말아박기를 뜻하는 봉제 법 미쓰마키. 봉제 자체가 일본에서 넘어 왔기 때문에 대부분 일본어다. 주로 옷 밑단에 봉제되는 방법으로 손이 더 가지만 깔끔하게 처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원단 끝을 세겹으로 말아 접어 처리하는 방식을 뜻한다. 정확히는 끝단 말어 박기 라는 뜻인데 대체적으로 밑단을 말아서 봉제한다고 사용된다라고 생각하면 쉽다. 미쯔마끼 누이 라고 해야 정확한 세겹으로 박는 거러 뜻한다 추가로 미쯔오리라는 말도 사용되는데 이것도 마찬가지로 선이 풀리지 않도록 폭을 2-3mm 말아 세번 접는 용도로 사용된다. 미쓰마끼보다 폭이 넓다. 밑단이 우는 이유는 외경과 내경의 넓이가 다르기 때문인데 이 부분은 봉제로 잡는데 .. 2022. 3. 12.
[용어] OEM, ODM, OBM 무슨 뜻이고 차이점이 뭘까? OEM, ODM, OBM 귀사는 OEM 시설 뿐 아니라 ODM 능력도 가지고 있습니다. 회사 브로셔에 나오는 한 문장이다. 여기서 OEM에 대략적으로 무슨뜻을 가지고 있는지는 대부분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게 정확히 무슨뜻이에요? 라고 물어본다면 답하기는 힘들 수 있다. 이번 기회에 OEM, ODM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추가로 ODM에서 업그레이드된 OBM까지 확인해보자. OEM: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쉽게 위탁생산업체라고 이해하면 쉽다. A라는 OEM 회사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B라는 회사에서 어떠한 제품을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고 B라는 브랜드를 제품에 표기해달라고 의뢰했다. 생산시설을 가지고 있는 A는 B의 요청대로 제품을 만들어 공급했다. 이러한 거래과정.. 2022. 3. 3.
[용어] C/O, 원산지 증명서 Certificate of Origin C/O 전달해 주세요 실무를 하다보면 요청 받는 서류 중 C/O라는 것이 있다. 무역서류 중 기본이 되는 서류로 CERTIFICATE OF ORIGIN의 약자로 원산지 증명서를 뜻한다. 원산지 증명서는 왜 필요할까?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제품이 어디서 생산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다. 그렇다면 왜 생산국을 확인할까? 오늘 날 무역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관세를 낮추는 FTA협정이 국가 및 연합마다 이루어져 있다. 즉 이러한 관세를 확인하고 적용받기 위해 필요한 기초서류가 C/O이다. 서류는 위와 같은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국가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큰 틀에 있어 거의 비슷하다. 어떻게 발급 받을까? 기존 수출을 자주 하는 회사라면 '인증 수출자 제도'를 받아놨기 때문에 간단히 발급이 가능하다. 하.. 2022. 2. 8.
[용어] GROSS WEIGHT, NET WEIGHT 차이 점 및 과부족 허용 조건 GROSS WEIGHT, NET WEIGHT 이란? 무역 거래를 진행하다 보면 GROSS WEIGHT 과 NET WEIGHT 을 쉽게 볼 수 있다. 이 둘의 차이점과 그외 자주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살펴보자. GROSS WEIGHT = 총 중량 조건 포장을 포함한 중량으로, 섬유 무역 및 액체 등 여러 조건에서 사용 된다. NET WEIGHT = 순 중량 조건 총 중량에서 포장 또는 용기를 제외한 물품의 중량.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 된다. 포장자재 무게가 10KG라고 가정했을 때 제품의 무게가 90KG 라면, GROSS WEIGHT은 100KG / NET WEIGHT은 90KG 가 되겠다. 국내에서는 KG 단위가 많이 사용되지만 해외에서는 LB 즉 POUND 사용이 많다. 1LB는 453.6 GRAM 이.. 2021. 12. 17.
[용어] MOQ, MCQ, MPQ 란 무엇일까? MOQ, MCQ, MPQ란? 무언가를 구매할 때 가장 많이 사용 되는 용어 중 하나가 MOQ 이다. MOQ에 대해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갖기로 했다. MOQ : MINIMUM ORDER QUANTITY 해석하자면 최소 주문 수량이다. 즉 A라는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서 100개를 구입해야 한다라고 한다면 A의 MOQ는 100개이다. MOQ는 다들 알지만 여기서 파생된 용어들이 있다. 대표적인 예로 MCQ, MPQ이다. MCQ : MINIMUM COLOR QUANTITY MPQ : MINIMUM PURCHASE QUANTITY MCQ는 최소 컬러 수량, MPQ는 최소 구매 수량이다. A제품 색상이 WHITE / BLACK 으로 총 2가지 색상이다. 이 때 A의 MCQ 100이라고 한다면, WHITE, BLAC.. 2021. 12. 14.
[용어] CMT는 무슨 뜻일까? CUT, MAKING, TRIMMING 위탁 가공무역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위탁가공계약서를 Consignment Processing Contract 또는 CMT Contract라고 한다. 혹은 위탁 생산 및 해외 생산 진행시 'CMT'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CMT는 무엇일까? CUT MAKING TRIMMING 단어 내용 그대로 자르고, 만들고, 다듬다라는 뜻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 드는 비용을 뜻한다. 즉 제품을 생산되는데 드는 임가공비를 뜻한다. 상황에 따라 순수 임가공비만 뜻하는지 마진이 포함되는지 상황별로 사용하는 경우가 다르기 때문에 꼭 확인해야 한다. 예를 들어 A라는 아이템을 위탁 생산할 때, CMT $10로 진행하겠습니다. 라는 뜻은 자재비 및 물류비를 제외한 가공비가 $.. 2021. 11. 11.
반응형